전체 글 1278

미국 이민법 Labor Certification 관련하여

미국 이민법에는 1)영주권 비자와 2)비영주권이지만 미국에서 활동할 수 있는 비자 종류로 나눌 수 있습니다. 1)영주권 비자의 큰 두 축은 a)가족 초청을 통한 영주권, b)취업을 통한 영주권이 있습니다.  취업을 통한다는 것은 결국 Employer, 고용주의 초청이 필요합니다. 그런데 Employer가 언제든지 원한다고 외국인을 무조건 데려올 수는 없습니다. 왜냐하면 미국내에서 직업을 찾는 사람들이 있기 때문입니다. 미국 정부도 국내에서 직업을 찾고자 하는 사람을 먼저 생각해야 합니다. 그래서 b)취업을 통한 영주권에서 Employer의 초청이 필요한 제도가 있고 Employer의 초청이 필요하지 않은 제도가 있습니다. Employer의 초청이 필요하지 않은 제도는 EB-1A, EB-2 중 NIW가 있..

캘리포니아 바시험 - Community property 강의

UBE관련 MBE, MEE 강의는 최근 업데이트를 완료했습니다. 그리고 1L 프리로 강의도 추가 업데이트를 완료했습니다. 강의 문의 중 Community property에 대해 질문을 주신 분들이 많았습니다. 이번에 시간을 들여 Community property 관련 정리 강의를 제작했습니다. Family law를 배우게 되면 그 중 Community property를 배우게 됩니다. 이혼에 관련된 이슈 중에 "재산 배분"에 대한 이슈를 빼 놓을 수 없습니다. 특별히 Community property를 채택한 State가 있고 그렇지 않은 State가 있습니다. 캘리포니아의 경우 Community property를 채택하고 있고Community property 적용에 대한 부분을 테스트 하고 있습니다. ..

미국 로스쿨 프리로 프로그램 - Legal writing 강의 설명

미국 로스쿨 입학 전에 프리로를 하는 것이 학업 부담을 더는데 도움이 된다고 이야기를 했었습니다. 수강생분들 중에 Legal writing에 대한 문의가 있었습니다. Legal writing에 대해 각 과목 수업이 종료될 때마다 큰 틀에 대한 설명을 했었습니다. 특별히 과목별로 Final exam에서 요구되는 능력이 무엇인지 설명했었습니다.  가장 좋은 것은 1:1로 글쓰기 방식을 설명하고 Case, Statute/Code 요약 정리 및 문제 상황에 맞도록 Application을 설명하는 것입니다. 교수님마다 추구하는 글쓰기 틀, 방식에 조금씩 차이가 있지만 큰 틀은 비슷합니다. 교수님마다 선호하는 방식은 수업시간을 통해 직접 확인해 나가는 방법이 있습니다. 그렇지만 큰 틀에서는 교수님들이 모두 합의하는..

미국로스쿨, 미국변호사시험 관련 1:1 코칭 및 수강평 정리 - 4월말 기준

안녕하세요. 미국 변호사 장수훈 입니다. 4월 중에는 한국변호사 시험 발표가 있었고 워싱턴 DC, 뉴욕 등 바시험 결과 발표가 있었습니다. 미국 로스쿨 진학에 대한 부분, 직장을 다니면서 미국 변호사 자격증 취득에 대한 부분, 바시험 재응시를 위해 개선해야하는 부분에 대한 이야기를 나누었습니다.  아래 상담후기를 정리하여 보았습니다. 상담을 고민하는 분들이 계신다면 도움을 얻으셨으면 합니다. "유학원이랑 다른 전문가 선생님들께 상담 많이 받아봤는데, 제일 도움이 크게 된 상담이었습니다! 상담자의 상황과 니즈에 따라 미국 현지 사정에 대해 상세히 설명주시고 추후 진학 전략뿐 아니라 커리어, 미국생활 전반에 대한 설명까지 해주셔서 혼자서는 생각하지 못했던 길도 생각해볼 수 있었습니다. 현지 상황에 대해 잘 ..

미국 가족법 Community property in California - 사람 관계 종류

Community property에서 중요한 이슈 중 하나가 바로 "Relationship status"입니다. 즉, 두 사람의 관계를 어떻게 봐야하는가 입니다. 단순히 동거만 하는 관계와 법에서 인정하는 관계와 당연히 다르기 때문입니다. 1. Marriage결혼 관계가 있습니다. 두 사람이 결혼으로 이어져 있다면 Marriage관계가 됩니다. Common-law marriage가 인정되는 State에서는 따로 Filing을 해야하는 서류는 없습니다. 즉, 결혼식을 올리고 증인을 불러서 확인을 받고 County Clerk's office에 서류를 제출할 필요가 없습니다.  하지만 캘리포니아는 Common-law marriage, 사실혼 관계를 인정하지 않습니다. 결혼 관계를 증명하고..

[캘리포니아 바시험 Community property]Property의 종류

캘리포니아 바시험은 일반적인 UBE 시험 과목에서 몇가지 더 깊게 들어가는 것이 있습니다. 그 중 하나가 바로 "Community property"입니다. Family law에서 다루는 여러 이슈 중 하나가 바로 "Permanent separation"입니다. 즉 부부로서 관계를 완전히 끊긴 상태 입니다. 예를 들어, 배우자 중 한 명이 사망했거나 부부가 이혼했다면 결국 둘 사이에 있었던 재산을 분리하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입니다.  가장 기본적인 Terminology를 알게 된다면 앞으로 다룰 주제에 대해서 대략 예상할 수 있습니다.  1. Community property vs. Separate property부부 재산을 Community pr..

한국에서 미국변호사 시험 자격 취득할 수 있는 방법은? (feat. 시험 칠 수 있는 States)

이번 포스팅은 "한국에서 미국변호사 시험 자격을 취득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간략히 정리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이미 비슷한 포스팅을 한 적이 있지만 눈에 보기 편하게 정리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제 포스팅 뿐만 아니라 구글에서 한국에서 미국변호사가 될 수 있는 방법을 설명한 것도 있으니 참고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1.국내 대학원 - 해외 로스쿨 Dual Degree과정우리나라 고등교육법에 따르면 해외로스쿨이 국내에서 직접 학위를 줄 수 없도록 되어 있습니다. 국내 대학의 공동학위 과정이 있다면 학위 수여가 가능합니다. 이런 이유 때문에 우리나라에서 공동학위 과정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개인적으로 한국에서 미국변호사 시험을 준비하고자 한다면 학위가 있는 것이 낫다고 생각합니다. 시험이 통과된 후에 학위가 있..

[미국변호사 시험] 2024년 2월 뉴욕바시험 결과 발표

2024년 2월 뉴욕바시험 결과가 발표되었습니다. 수험생 3,962명 중 1,667명이 합격하여 전체 합격률은 42%을 기록했습니다. First-Time pass rate은 59%였고 Repeaters pass rate은 33%였습니다.   뉴욕법원에서 구체적인 결과 분석을 해 놓았기 때문에 위의 표를 보면 대략적인 합격률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Foreign-Educated - First-Time Takers을 보면 외국에서 법학 공부를 하고 미국내 LLM을 졸업한 사람 합격률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 때 초시 합격률은 45%임을 알 수 있습니다. Repeaters의 합격률을 합치면 35%정도 나오는 것을 ..

영주권과 시민권의 차이는 단순히 투표권만 있는가?

미국에서 생활을 하기 위해서는 그곳에서 생활하기 위한 비자가 필요합니다. 유학을 준비하는 분들에겐 F-1비자가 익숙할 것이고 미국에서 생활을 시작하면 영주권, 시민권을 익숙하게 들을 수 있습니다. 미국에 거주할 때 Status(신분) 문제가 해결되면 여러모로 편리해집니다. 특별히 취업을 걱정하고 있다면 영주권, 시민권을 취득하게 되면 취업이 한층 쉬워지는 것이 사실입니다. 그래서 신분 문제 해결에 신경을 곤두세우기도 합니다. 1. 영주권 vs 시민권 영주권은 Permanent residency 즉 기한 없이 미국에서 거주할 수 있는 권리라고 볼 수 있습니다. 시민권은 그 나라의 시민이 되는 권리라고 보면 됩니다. 신분 문제에 대해 큰 고민을 하지 않은 사람 입장에서는 '시민권이랑 영주권은 투표권 유무 차..

한국인들이 많이 지원하는 미국변호사 시험 치는 States, 한국내 프로그램들

이번 포스팅은 "미국변호사 시험을 치는 State"에 대해 이야기를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이미 정리한 내용이 있지만 추가로 업데이트를 하는 것이 좋을 것 같아 정리해 보았습니다. 1.Disctrict of Columbia (워싱턴 DC)한국에서 진행되는 여러 프로그램들이 있습니다. 1)비학위프로그램, 2)국내대학원 석사-해외로스쿨 LLM, 3)한동대, 4)다른 프로그램 등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한림국제대학원대학교-코네티컷로스쿨, 카이스트-노스웨스턴로스쿨이 있습니다. 최근 서강대 글로벌법무학과 석사 - 미국 로스쿨 LLM도 열렸습니다. 한국조지메이슨대학교 LLM프로그램을 런칭하기도 했습니다. 워싱턴 DC의 경우 시험을 치기 위해 한국법학사 자격과 일정 이상의 미국 로스쿨 학점을 취득하면 됩니다. 다른 ..